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R&D

소재기술

경영방침

나노클러스터 금속복합 그래파이트 제조기술

나노클러스터 특징

  • 기존 음극재에 적용되고 있는 그라파이트의 판상형 구조를 구형으로 변형시켜
    리튬이온 전지 안정성을 증대시켜 고용 용량 10~15% 향상
  • 충방전시 흑연 음극재의 체적변화를 줄여 전지의 안정성을 높임
  • 금속 종류 및 합성 비율 따라 고객 맞춤형 소재 개발

나노클러스터 복합 그래파이트 음극소재

고효율 특성이 우수한 고용량 차세대 음극소재 JPE-NTO

JPE-NTO 특징

  • 고율특성이 우수한 니오븀계 음극소재 개발
  • 결정구조 및 합성 조건에 따른 소재 설계/개발
  • 0.1C, 1C, 2C, 5C, 10C, 20C에서 5cycle씩 충방전 후 다시 0.1C로 충방전 했을 때
    기존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용량 회복율이 낮지만 당사의 니오븀계 음극소재의 경우
    초기 0.1C에서의 용량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됨

고율특성 : 충방전시 충방전의 속도를 저속에서 고속으로 충방전 후 다시 저속으로 충방전 했을 경우
전기용량의 회복율

JPE NTO vs. Commercial Graphite 비교

JPE NTO 특성

Graphite 대비 우수한 용량

고율특성 우수

열폭주 가능성 X

Fast charging 실험

기존음극재 & JPE NTO 특성 비교

구분
  • 전압
  • 충전성능
  • 작동온도
  • 출력성능
  • 수명
  • 용량
  • 열폭주 기능성 (C2H4 발생)
Hard Carbon (LFP)
  • 3.2V
  • 1C
  • 0~40°C
  • 3C
  • 1,000cycle
  • 240mAh/g
  • 높음
Graphite (LIB)
  • 3.7V
  • 2C
  • -20~60°C
  • 3C
  • 1,500cycle
  • 300~320mAh/g
  • 높음
JPE NTO
  • 3.2V
  • 20C
  • -20~60°C
  • 20~30C
  • 10,000cycle
  • 330~350mAh/g
  • 없음